Print Friendly and PDF

프로그래밍 책/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

[읽코좋코] 설명/요약 변수

나는야 개발자 2025. 6. 18. 21:09
반응형

설명변수란?

- 커다란 표현을 쪼개서 작은 단위표현으로 '추가변수'를 만드는데, 이 '추가변수'는 하위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므로 '설명변수'가 된다.

 

가령 

if(line,split(':')[0].strip() == "root":
	...

위와 같은 코드를

 

username = line,split(':')[0].strip();
if username == "root":
	...

처럼 "username"이라는 이름의 '추가변수'로 만들어 split하고 strip한 변수가 어떤 변수인지 '설명'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.

*이렇게 하면 저 큰표현이 어떤 것인지 읽는 사람 입장에선 쉽게 이해가 된다.

 

요약변수란?

-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도, 새로운 변수에 담아 큰 코드의 덩어리의 코드를 더 쉽게 관리하고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지는 걸 '요약 변수'라 한다.

 

if(request.user.id == document.owner_id){
	//사용자가 이 문서를 수정할 수 있다...
}

if(request.user.id != document.owner_id){
	//문서는 읽기전용이다...
}

-해당 코드의 request.user.id == document.owner_id는 표현이 커보이지 않지만 총 5개의 변수를 담고 있따. 그래서 읽는 자 입장에선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한다.

 

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선

final boolean user_owns_documnet = (request.user.id == document.owner_id);

if(user_owns_documnet){
	//사용자가 이 문서를 수정할 수 있다...
}

if(!user_owns_documnet){
	//문서는 읽기전용이다...
}

- 로 요약변수로 만들어 쉽게 표현이나 활용이 가능하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