색상이론?
쉐이더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. 이를 통해 더 자연스럽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효과를 만듦
1. 색상 모델
RGB
- 가법혼합 모델로, 빛의 삼원색 사용, 쉐이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
HSV/HSL
- 색상, 채도, 명도로 색 표현
-직관적인 색상 조절에 유용
2. 색상 공간
sRGB
-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RPG 색상 공간
Linear RGB
- 빛의 강도를 선형적으로 표현하는 색상 공간으로, 물리적으로 정환한 랜더링에 사용
3. 감마 보정(Gamma Correction)
- 인간의 눈이 밝기를 비선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보정하는 과정
- 쉐이더에서 색상을 계산할때 주의해야할 중요한 개념
4. 색상 혼합(Color Blending)
- 여러 색상을 혼합하는 다양한 방법(예: 가산 혼합, 감산 혼합, 곱셈 혼합 등)을 이해하고 적용
5. 색상 대비(Color Contrast)
- 인접한 색상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활용
- 보색 대비, 명도 대비 등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강화
6. 색온도(Color Temperature)
- 빛의 색상을 켈빈 단위로 표현
- 자연스러운 조명 효과를 만들때 중요
색상 이론 적용 예
1. 톤 매핑(Tone Mapping)
- HDR(High Dynamic Range) 색상을 LDR(Low Dynamic Range) 디스플레이에 맞게 변환
2. 색상 그레이딩(Color Grading)
- 전체적인 색상 분위기를 조절하여 특정한 시각적 스타일을 만듦
3. 색상 보정
- 특정 색상을 강조하거나 약화시켜 원하는 시각적 효과를 얻음
이러한 색상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, 쉐이더를 통해 더욱 풍부한 세련된 시각적 효과를 만들 수 있음
'유니티 > 쉐이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일차] 기본 노드 이해 및 사용법 학습 (0) | 2024.10.04 |
---|---|
[3일차] (0) | 2024.10.03 |
[2일차] 쉐이더의 종류와 용도 파악 (0) | 2024.10.02 |
[1일차] 빛의 상호작용 원리 학습 (0) | 2024.09.26 |
[1일차] 랜더링 파이프 라인과 쉐이더 (1) | 2024.09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