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진탐색이란?- 어떤 값을 찾을때 정렬의 특징을 이용해 빨리 찾음- 정렬이 되어 있을 경우, O(N) -> (logN)- 기존 다른 방법으로 시간 복잡도를 생각했을때, 안되면 이진탐색으로 처리하면 좋음 첫 아이디어- M개의 수마다 각각 어디에 있는지 찾기- for : M개의 수- for : N개의 수안에 있는지 확인 첫 시간복잡도- for : M개의 수 > O(M)- for : N개의 수안에 있는지 확인 > O(N)- O(MN) = 1e10 > 시간초과 아이디어- M개를 확인해야는데, 연속하다는 특징 활용 가능(투포인터)? => 연속하지 않아 불가- 정렬해서 이진탐색 가능?(N개의 수 먼저 정렬)(M개의 수 하나씩 이진 탐색으로 확인) 시간 복잡도- N개의 수 정렬 : O(N * lgN)- M개의 수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