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브젝트 메테리얼과 셰이더 적용_1일차 *Standard 씬 생성 *Sphere 오브젝트 생성 * 우클릭 -> Craete -> Shader Graph -> URP -> Unit Shader Graph 생성* 우클릭 -> Create -> Material 생성 * First_Graph를 드래그하여 생성한 First_Mat에 드랍하여 Shader적용 * First_Mat을 Sphere에 드래그 드랍하여 적용 * 빨간색 동그라미 친 곳을 변경하면 Shader 경로 변경이 가능 유니티/대마왕URP 2024.12.04
[4일차] Noise효과 실습 1. Simple Noise 노드 생성2. UV노드 생성 후 Simple Noise UV에 연결3. Float 노드 생성 후 Simple Noise노드의 Scale에 연결4. Multiply 노드 및 Color노드 생성5. SimpleNoise 출력과 Color노드 출력을 Multiply에 연결 각각 하나씩 연결6. Multiply을 Frament노드의 Base Color에 연결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5
[4일차] 색상 조정 효과 1. Color 노드 추가 -> 우클릭 -> Corvert -> Property2. Multiply 노드 추가 후 Color 노드 B에 Color 노드 추가3. A에 Sample Texture 2D RGBA 연결4. Multiply Out을 Fragment Base Color에 연결 *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 추가1. Time 노드 추가 2. Sine노드 추가 후 Time노드 출력에 Sine노드의 in에 추가* Sine노드란? 입력 값을 Sine값으로 통과 시켜 -1에서 1 사이의 주기적인 값을 출력* 시간을 입력값으로 하면 부드럽게 변화하는 주기적인 값을 출력3. Remap노드 추가 후 in에 연결 * Remap노드란? 입력값의 범위를 다른 값으로 변환* In 변화하려는 값의 원본* In Min Ma..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5
[4일차] 텍스처 애니메이션 효과 구현 1. 쉐이더 그래프 생성 2. Time 노드 추가 3. Sample Texture 2D 노드 추가 후 원하는 이미지로 변경 4. Multiply노드 추가 후 Time노드와 Multiply 노드 연결5. Multiply노드와 Tiling And Offset의 Offset에 연결6. Tiling And OffSet을 UV와 연결 Sample Texture2D의 이미지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음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5
[4일차] Tiling And Offset Node 실습 1. 동적 타일링을 위해서 Time 노드와 Multiply 노드를 추가2. A에는 BlackBoard에 Float을 추가 후 A에 연결, B에는 Time을 추가 연결3. Vector2 노드를 추가 후 Multiply Out을 Vector2의 X,Y에 연결 4. Vector2 Out을 Tiling에 연결하면 끝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5
[3일차] 텍스처 타일링 실습 저번시간 이어서 진행*노드 생성 방법은 이제 생략 1. Tiling And Offset 노드추가 2. 노드 연결- Tiling And Offset UV와 이전에 생성한 UV와 연결- UV Out과 Sample Texture2D 연결- 테스트를 위해 아무 이미지 Texture2D에 넣기 3. Tiling 값 조절- Tilit 입력에서 x,y값을 조정- 예 x=2, y=2로 설정하면 텍스처가 가로,세로 2번씩 반복- 체크가 더 많아진 것을 볼 수 있음 4. 동적으로 제어해보기- Blackboard에 Vector2 추가 - Blackboard에서 드래그 드랍하여 뷰로 뺀다음 Tiling과 연결 - Graph Inspector에서 값 조절하여 잘되는지 체크 5.메테리얼로 만들어 결과 확인해보기- 빈 메테리얼 생..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4
[3일차] 기본 노드 이해 및 사용법 학습 1. Textrue 2D 노드 생성*빈공간 우클릭 -> Create Node -> Texture2D 검색 -> Texture 2D Asset 더블클릭하여 생성 * Texture2D Asset 우클릭 후 Property 추가 2. UV노드 생성*UV노드란?- 텍스처 좌표 제공- UV 좌표는 2D텍스처를 3D 모델에 매핑하는데 사용됨- U는 가로축(0에서 1), V는 세로축(0에서 1)을 나타냄 *UV 출력- Vector2 타입의 출력 제공- 출력은(U, V)좌표를 나타냄 *노드 생성빈공간 우클릭 -> Create Node -> UV 더블클릭 *Sample Texture2D노드와 UV노드 연결Sample Texture2D 생성 후 UV노드 연결 *기존 Color, Multiply 노드를 제거 후 RGBA와 ..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4
[3일차] *Unity 22.3.14f 버전 기준 1. Universal 3D 프로젝트 생성 2. Project 우클릭 -> Create -> Shader Graph -> URP -> Lit Shader Graph 생성 3. 쉐이더 그래프 구성*그래프 뷰 - 창의 중앙 큰 영역 *블랙보드 - 쉐이더 속성 나열 *메인 뷰 * 노드 4. 노드 추가 해보기* 빈공간 우클릭 후 Create Node 클릭 *color 노드 추가를 위해 color 검색 후 추가 * 같은 방법으로 Multply 노드 추가 5. 노드 연결해보기 *Color 노드의 Out에 Multiply A에 연결 스칼라 값인 B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색상이 나오도록 조정*Multipy의 Out과 Fragment BaseColor값 연결 후 Main Pre..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3
[2일차] 쉐이더의 종류와 용도 파악 쉐이더는 기능과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뉨1. 버텍스 쉐이더(Vertex Shader)- 3D 모델의 각 정점(버텍스)을 처리- 주요 용도: 정점 변형, 스키닝(캐릭터 애니메이션), 모델 변형등 2. 프래그먼트 쉐이더(Fragment Shader)- 픽셀의 최종 색상을 결정- 주요 용도: 텍스처 매핑, 라이팅 계산, 특수 효과 적용등 3. 지오메트리 쉐이더(Geometry Shader)- 기존 도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도형을 생성- 주요 용도: 파티클 효과, 모발이나 풀 랜더링 등 4. 컴퓨트 쉐이더(Compute Shader)- GPU에서 병렬 연산 수행- 주요 용도: 물리 시뮬레이션, 대량의 데이터 처리 5. 테셀레이션 쉐이더(Tessellation Shader)- 기존 도형을 더 작은 조각으로.. 유니티/쉐이더 2024.10.02